상장지수 펀드란? ETF? 주식인가 펀드인가
전에 ETF에 대해서 간단히 다뤄본 적이 있는데요 오늘 경제신문을 보다 보니 상장지수펀드 ETF라는 용어도 나오던데 이건 또 무슨 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장지수펀드 영어로 Exchange Traded Funds 라고 이것을 줄여서 약자로 ETF 라고 한다고 하는군요
아 그러니까 한마디로 ETF를 가리켜 상장지수펀드라고 애기를 하고 있는 것이네요
그럼 다시 한번 애기하자면 어떠한 특정주가지수에 따라 인덱스펀드를 주식처럼 사고 팔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인덱스펀드란 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인덱스펀드란 무엇인가?
인덱스펀드란 무엇인가? 투자의 방향성을 잡고 미래를 대비하는 훈련은 꾸준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투자의 방식중 금융투자에 대한 이야기들을 해보고 있는데요 주식,채권,펀드 많이 들어
ft8897ft.tistory.com
한마디로 상장지수펀드는 ETF를 말하는 것이다 라는 것이고 애기 나온김에 다시한번 공부해 보도록 하죠
특정한 주가지수에 연계한다 예를 들어서 특정한 주가지수가 코스피 라고 한다면 코스피지수가 오르고 내리는 것에 대해서 관련상품을 매매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펀드를 상장지수펀드 즉 ETF라고 하는데 주식처럼 개인이 직접 사고 팔수 있다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초등학생도 이해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까지는 좀 무리가 있겠죠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게 애기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는 더 궁리를 해봐야겠네요.
ETF란? 펀드의 장단점까지
ETF란? 펀드의 장단점까지 ETF란 상장지수펀드 라고 하는데요 풀어서 이야기 하면 ETF도 종류가 많은데요 이런 종류별 특정한 주가의 움직임에 따라서 수익률이 결정되어지는 펀드라고 말씀드릴
ft8897ft.tistory.com
그럼 전 포스팅에서 빠져있던 내용들 조금 더 추가하고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상장지수펀드인 ETF는 펀드이지만 주식처럼 직접 사고 팔수 있다 라는 내용은 이제 아셨고 그럼 증권회사에서 판매하는 펀드를 가입하는 것과 내가 직접 사고 파는 것에 대한 수수료적인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펀드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1~3% 정도 운용비? 수수료를 내야 하구요 정해져 있는 기간안에 중도해지를 하고 환매할 경우 중도환매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직접 매매를 하는 ETF의 수수료인 0.1~0.5%와 차이가 많이 난다 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이 부분은 증권사마다 조금씩 수수료율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을 해 보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또한 내가 직접 매매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만큼 투명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 라고 보면 됩니다.
그렇다고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펀드상품이 불투명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내가 알수 없기 때문에 그렇다 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이렇듯 상장지수펀드는 ETF를 뜻한다 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고 그와 관련된 사항들을 추가적으로 한번 더 알아보았습니다.
날씨가 너무 좋네요
코로나때문에 아직 힘들지만 모든 분들 화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경제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시대의 투자방법 중 금 투자가 대안이 될 수 있을지 (0) | 2021.05.17 |
---|---|
유가증권이란? 유가증권종류 알아보기 (2) | 2021.05.13 |
채권이란? 간단한 채권의종류 (14) | 2021.05.11 |
요구불예금 과 저축성예금 초등학생을 위한 경제교육 (4) | 2021.05.10 |
기초자산 이란 무엇인가? (5) | 202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