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미수금이란 무엇일까요?
오늘도 간단한 주식용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린이분들을 위한 포스팅이오니 고수님들은 빠르게 지나가셔도 되겠구요. 우리가 기본적으로 주식을 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용어들에 대한 개념정리를 해야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이렇게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해 보고 있습니다.

예수금과 증거금에 대해서 말씀드려봤구요. 이번엔 미수금에 대한 용어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수금이란 우리가 상품을 팔거나 자산을 매각하였을 경우에 받아야 하는 대금중에 못 받은 금액을 말합니다.
이렇듯 이와 같은 미수금을 주식에 적용시켜서 애기하자면 전 시간에 포스팅했던 예수금과 증거금에 대한 부분을 이해하고 계셔야 하는데요.
다시한번 간단히 말해서 예수금은 내 증권계좌에 들어있는 돈이고 증거금은 예수금으로 주식을 매수할때 필요한 보증금과 같다 라고 보셨을 경우 우리가 급하게 추격매수를 하다보면 내가 매입할 수 있는 한도금액을 초과해서 매수를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렇게 됐을 경우 한도가 초과된 금액만큼 미수금으로 잡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미수금은 주식거래가 완료되는 3일후까지 처리하지 못하게 되면 증권회사에서 강제적으로 내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한마디로 증권사에서는 최소한의 손해를 보기 위해 손절을 한다 라고 보셔도 될겁니다.
물론 부족한 부분이 생기면 어떻게 해서든지 받아내니 이 부분은 특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이와 같이 정리를 하자면
주식에 있어 미수금이라고 하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예수금에서 즉 내가 가지고 있는 돈보다 더 주식을 매수하였을 경우에 그 초과된 부분을 미수금이라고 정의한다 라고 알고 계시면 됩니다.
여기서 가끔 미수금과 증거금을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증거금은 내돈이고 미수금은 내돈이 아닌 꿔온돈이다 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증거금은 증권사별로 주식별로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우리가 주식을 보다보면 증40% 이렇게 되있는 것을 보셨을 수 있는데요 이와 같이 이 주식은 내가 몇%의 증거금을 가지고 있어야 매수를 할수 있다 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뉴스나 메스컴을 통해서 주식이야기가 나올때 신용융자, 미수금을 최대로 해서 최대의 수익을 얻었다 라는 보도도 많이 접해 보셨을 겁니다.
이렇듯 영끌해서 최대의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방법이 될 수도 있겠지만 전에 말했듯이 반대매매로 인해 나락으로 빠지는 일도 있으니 항상 주의하셔야 할 것입니다.
아. 반대매매라는 용어가 나왔군요. 이 용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또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들 성투하세요.

'경제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외종가 매매시간과 거래방법 (1) | 2021.05.05 |
---|---|
동시호가란 무엇인가? 시간외 주식거래시 사용 (8) | 2021.05.04 |
주식 증거금이란? 주린이들을 위한 주식용어공부 (6) | 2021.05.02 |
주식 예수금이란 무엇인가 알아봅니다. (18) | 2021.05.01 |
기준금리동결,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상관관계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