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증거금이란? 주린이들을 위한 주식용어공부
우리가 기본적으로 주식거래를 하다보면 내가 주식을 이 정도 금액으로 매입을 했는데 계좌잔고정보에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면 내가 예상하지 못한 금액들이 정신없이 적혀 있는 것을 주식을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다들 보셨을 겁니다.
왜 이렇게 금액들이 나누어 지느냐 하면 주식을 매입하고 이 주식이 완전히 내 주식이 되는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3일 이라는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왜냐하면 내가 매입한 주식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에 대해서는 한번 확인을 해보고 포스팅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듯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예수금에서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게 되면 첫날 금액이 다 빠져나가지 않고 분할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렇기 때문에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면 보증금 형식의 증거금이라는 것을 받게 되는데요 오늘은 이 증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수금이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전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증거금이란?
증거금을 제일 쉽게 정의하면 주식 또는 파생상품거래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애기하면 우리가 주식매매 거래시에 결제불이행을 할 경우를 대비해서 개인이 증권회사에 매매거래를 할 경우 증권사에서 일정 금액을 받아두는 것입니다.
다시한번 애기하자면 주식을 결제할 경우 3일이 걸리고 주식을 매매하는 금액이 바로 내 증권계좌에서 입출금이 되지 않고 3일후에 입출금이 되기 때문에 매수한 금액이 결제되기 전까지 매수금액의 일부분을 증거금으로 산정해 나중에 주식매매나 입출금에 있어 불이익이 생기는 것을 미리 예방하자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이 부분도 계좌와 종목에 따라 적용되는 증거금에 대한 비율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서 말씀드리면
만일 1주에 10만원 하는 주식이 있다고 하고 이 주식에 대한 증거금이 20% 2만원이라고 한다면 오늘 현재 내가 10만원이 없고 2만원만 있어도 10만원짜리 이 주식을 살 수 있습니다.
단 주식이 완전 매입되는 3일전까지는 나머지 80%에 해당하는 8만원을 입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을 잘 이용해서 주식으로 수익을 배가 시키시는 분들도 계시고 있지만 이 부분도 장단점이 존재하고 있어 이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거금 장점
정말 확실하게 상승할 거라고 생각하는 주식이 있는데 내가 가지고 있는 예수금보다 더 많은 주식을 사고 싶을때 이 주식의 증거금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주식을 매수할수 있으며 주식이 예상대로 상승하게 되면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증거금 단점
위 장점 부분에 반대되는 내용으로 상승할 거라고 예상했던 주식이 만일 하락을 하게 된다면 서두에 애기했듯이 주식거래시 실제 결제가 완료되는 시점은 3일후가 되기 때문에 내가 증거금만큼 주식을 더 매수하게 된다면 2일 후에는 꼭 나머지 금액을 입금해야 합니다.
금액을 입급하지 못하면 증권사에서 강제로 내 주식을 팔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렇기 때문에 처음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의 경우 본인의 예수금을 정확히 인지하시고 매매를 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하지만 급하게 추격매수를 한다던가 급하게 어떤 정보를 듣고 매수를 하게 될 경우 나도 모르게 내 예수금을 초과하여 매수를 하게 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처음 주식을 접하시는 분들의 경우 본인의 증권회사에 전화하셔서 내 예수금을 초과하게 되면 매수가 안되게 하는 안전장치? 라는 부분이 있으니 이 부분들은 꼭 설정해 두시기 바랍니다.
고수분들 말고 초보자분들을 위해 드리는 말씀이였습니다.
제 경험상 겪어봤던 일이였기 때문에 당부드리는 것이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증거금 정리를 하면
주식 결제를 하기 위해 이행되는 보증금이며 이 부분은 주식거래시 약이 될 수 있지만 독이 될 수도 있다.
본인이 잘 판단해서 활용을 해야한다.
팁:현재 주식의 증거금은 대부분 40%정도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어 보통 주식투자자의 보유금액보다 2.5~2.8배 많은 금액으로 주문이 가능하다.
모든 주린이분들 성투하셔서 부자 되시기 바랍니다.
'경제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시호가란 무엇인가? 시간외 주식거래시 사용 (8) | 2021.05.04 |
---|---|
주식미수금이란 무엇일까요? (4) | 2021.05.03 |
주식 예수금이란 무엇인가 알아봅니다. (18) | 2021.05.01 |
기준금리동결,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상관관계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0) | 2021.04.21 |
주식 공매도란? (0) |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