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금리와 주가의 관계

 

경기가 안 좋으면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줄어드니 돈의 값, 즉 금리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구요 돈의 값이 싸지면 시중에 유동성이 풀리고 이렇게 풀린 유동성은 주식시장으로 흘러가 주가를 올리게 되는데요

 

금리와 주가의 관계

 

 

이와는 반대로 금리가 올라가면 굳이 위험한 주식시장에 투자할 것 없이 은행에 예금하면 되기 때문에 주식에서 돈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그 결과 주가는 하락을 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렇게만 보면 금리와 주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하지만 이 관계가 이렇게 단순하지만은 않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유명한 분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금리와 주가의 관계는 달걀모양으로 정리가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금리가 높으면 투자자들은 은행에 예금을 할 것이며 그러다 경기가 위축되어 금리가 다시 하락하기 시작하면 돈이 채권으로 이동을 하는데 채권 금리와 가격은 정반대로 움직이니 금리가 더 떨어질 것 같으면 채권으로의 수요는 더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경기가 안좋와지게 되면 중앙은행은 본격적으로 개입해 기준금리를 낮추고 돈의 공급이 더 늘어나 금리가 더 낮아지면 채권의 돈이 임대수익을 노리는 부동산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후 금리가 더 낮아져 최저점을 찍게 되면 부동산의 자금이 다시 주식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후 경기가 좋와지면 기업들이 공장을 짓고 투자를 늘려 빚을 내면서 돈의 값인 금리가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까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로 인해 주가가 오르게 됩니다.

 

그러다 물가 상승을 걱정할 정도가 되고 인플레이션 애기가 나오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고 이러면 주식에서 다시 예금으로 자금이 이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다고 한다면 우리는 주식을 금리가 저점을 지날때 사서 고점에 다가갈때 팔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기바닥과 경기 고점에서 금리와 주가는 반대의 관계를 보이지만 경기침체 초반에는 금리가 떨어져도 주가가 오르지 않고 경기가 막 회복하기 시작한 때에는 금리가 상승해도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금리와 주가는 반대방향으로 간다 라고만 이야기 할수 없는 부분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