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어떻게 조사를 하는 것인가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사서쓰는 물품들의 가격을 지수화한 경제지표입니다.
이 지수가 오르고 내리는 것을 보면 경제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데요 이런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하는 곳은 통계청으로 매달 통계청 직원들이 이 물품들의 가격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백화점,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 전국에 있는 2500여개의 표본 소매점을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모든 소매점을 전수조사하려면 엄청난 예산과 인력이 필요하기에 표본 조사를 잘 하면 전수조사만큼의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통계청은 또 모든 물품의 가격을 조사하지는 않는데요 소비자들이 많이 사는 460개 품목이 조사 대상이며 이 대상품목은 시대의 변화를 감안해 5년마다 한 번씩 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견과류 가격 조사에 땅콩과 아몬드는 포함되지만 호두는 빠지고 닭 가격은 조사되지만 오리 가격은 제외되는 것처럼 대표 품목은 소비자들이 해당 품목에 월 평균 생활비의 0.01% 이상을 지출하는 것들이 해당되게 됩니다.
생활비가 100만원이라면 100원 이상 쓰는 물건이라는 애기입니다.
통계청이 500여 개 표본 소매점과 대표품목을 대상으로 매월 조사하는 것 외에 가격변동이 심한 농축산물은 매월 세번 조사를 합니다.
세 차례의 평균값을 반영하게 되는데 품목마다 가중치도 다르게 적용을 하며 물품가격이 똑같은 퍼센트로 올라도 소비자물가지수를 계산할 때는 반영비율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때문에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와 지수상 물가가 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며 시장에서 쌀값이 많이 올라도 가중치가 낮기 때문에 물가가 덜 오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곧 지출 비중이 다르면 물가 느낌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 지수나 지표가 착시현상을 일으키게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중요한 경제지표 중 하나라는 것은 이 지수를 경기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기업들도 이 지표를 중시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물가는 경기가 상승 국면에 있을때 수요 증가로 오르는 경향이 있고 하강 국면에 있을 때 수요 감소로 내려가는 경향을 띄는게 일반적입니다.
소비자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정부에 지금까지와 다른 경제정책을 쓰라는 신호를 주는 것과 같은데요 이 반대일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화폐의 구매력, 즉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며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지수의 오르내림을 보고 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들이거나 풀거나 하는 것입니다.
금리를 올린다는 뜻은 돈을 쓰는 비용을 높인다는 의미이고 이것으로 시중에 돈이 덜 풀리게 되는 것입니다.
돈이 덜 풀리면 소비할 때 쓸 수 있는 돈이 적어지기 때문에 금리상승 물품 가격 하락이 성립하게 됩니다.
한국은행이 물가를 보고 금리를 조정하고 통화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물가지수는 통화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는 경기판단 지표, 화폐 구매력 측정 수단, 통화정책 목표 수립을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고 알고 계시면 될 것입니다.
'경제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인상과 코스피 증시와의 상관관계 (0) | 2021.09.15 |
---|---|
미국 증시 조정 9월 위기설 (1) | 2021.08.23 |
미국 달러를 언제 팔아야 할까요? (0) | 2021.08.21 |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얼마나 더 올라갈까요 (0) | 2021.08.20 |
코스피 한국 증시 내리막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