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미수금이란? 미수금 결제 미수금 발생은 왜 일어나는가?

 

스마트폰으로 주식 거래를 하는데 어느 날은 한통의 문자를 받았다

 

미수금이 있으니 언제까지 상환을 하라는 메세지였는데 어느 한 종목을 급하게 추격매수 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내가 가지고 있는 자금보다 더 매수를 하게 된 것이였는데 그럼 어떻게 내가 가진 돈보다 더 주식을 살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미수금 거래란?

 

미수금거래를 미수거래라고 하는데 일정한 증거금으로 주식을 산 뒤 이틀 뒤에 갚는 거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삼성전자의 증거금율은 30%인데 만일 100만원 어치 삼성전자 주식을 사고 싶다면 일단 30만원만 증거금으로 내고 나머지 70만원을 영업일 기준 이틀 뒤에 계좌에 넣어 두면 되는 것입니다.

 

물론 증거금율은 종목마다 차이가 있으니 주의하시구요

 

 

이렇게 미수거래를 할 것인지 혹은 100% 현금으로만 거래를 할 것인지의 여부는 증권사 계좌를 만들 때 선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넘어간다

 

사실 확인하지 않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아예 이런게 있는지 조차 모르기 때문에 확인을 못한다고 볼 수 있겠죠

 

하지만 조금 신경을 써서 계좌 잔고만 봐도 내가 미수를 했는지 안했는지는 알 수 있으나 저와 같이 급하게 추격매수를 하다 보면 내 잔고를 신경 못쓰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내 잔고를 확인하는 부분은 바로 예수금을 체크하면 됩니다.

 

예수금이란?

 

여기서 예수금이란 증권사 계좌에 들어 있는 현금을 말하는데요

 

예수금이 있다고 하더라도 전부를 바로 출금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요 주식을 주문하면 이틀 뒤에 결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인출 가능한 현금이 얼마인지를 보려면 "D+2 예수금" 부분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만약 "D+2"에 예수금이 마이너스로 되어 있을 경우 그만큼 미수금액이 발생했다는 애기고 이틀뒤까지 현금을 반드시 채워넣어야 합니다.

 

물론 증권사마다 허용하고 있는 가능시간은 조금 씩 다르지만 보통은 이틀 뒤 오후10~11시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금을 못채우면?

 

추가로 넣을 현금이 없다면 미수로 결제한 당일 주식을 일부 매도하거나 다른 주식을 팔아 갚아야 하겠는데요

 

다만 다른 주식을 팔아 갚으려 할때는 제세공과금 등을 생각해서 좀 넉넉히 매도를 해야 하며 만약 미수금액이 발생했다는 문자를 제때 보지 못했다가 이틀 뒤까지 빛을 못 갚았다면 증권사는 영리기업이기 때문에 투자자의 사정을 봐주지 않고 단 1원의 손해도 용납하지 않습니다.

 

빚을 못 갚으면 그 금액만큼 3일째 되는 아침에 장이 열리자 마자 증권사가 투자자의 주식을 마음대로 팔아버립니다.

이를 반대매매라고 하는데 이 반대매매가 무서운 것이 그냥 파는게 아니라 하한가를 기준으로 그냥 팔아버린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70만원의 미수가 발생한 종목의 주가가 반대매매 전날 1만원이라고 가정하면 다음날 오전 종가의 하한가인 7천원을 기준으로 총 70만원어치 즉 100주를 팔아버린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수량은 이렇게 하한가에 맞춰서 산정하지만 실질적으로 팔때는 시장가에 그냥 던져버리는 것이죠

이렇게 되더라도 미수가 발생했을 시점 보다 더 많은 수량이 팔리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가 꼭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미수거래 차단

 

급하게 매수를 하다보면 이런 일이 생길수 있어 미연에 이런 부분을 차단시켜 놓을 수 있습니다.

계좌의 증거금률을 아예 100%로 설정을 해버리면 되는데요 내 증권회사에 전화 한통만 하면 바로 바꿀수 있습니다.

 

 

이렇게 미수금이 결제되고 또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알아봤는데요 처음 주식을 시작하시는 분들이라면 미수거래는 안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작은 금액으로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긴 하지만 우리는 투기가 아닌 투자를 해야하기에 내가 가지고 있는 자금 한도내에서 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성투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