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퇴행성 무릎 관절염 증상 치료법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요?

 

어렸을적 부터 왼쪽 무릎이 안좋와서 걱정이 많이 됐어요 연골연하증이라는 진단도 받았구요 그래서 어떻게 치료를 해야 좋은 방향으로 갈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퇴행성 관절염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상당수가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질환입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무리한 직장일과 과도한 운동, 잘못된 습관으로 인하여 젊은 층까지도 확산되고 있는 추세라고 하는데요 

이 증상이 심해지면 조금만 걸어도 무릎이 시큰거리고 아프고

쪼그리고 앉기 힘들어집니다.

다리에 힘이 없어 자신도 모르게 주저앉기도 하게 되죠

밤이 되면 쑤시고 아파서 잠을 잘 수 없고 울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더 심해지면

무릎에 물이 차거나 책상 다리를 할 수 없게 되고

걸을 때마다 뼈가 부딪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

 

증상의 원인

 

퇴행성 관절염은 오랜 시간 무릎관절의 과다한 사용이나 노화로 인해

약화된 무릎주변의 근육이나 인대 신경조직이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지탱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무릎뼈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는 

연골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연골이 닳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근육 인대 조직의 손상으로 다리에 힘이 없고 신경조직의 손상이

시튼거리거나 쑤시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며

혈행장애과 불순물이 합쳐져 무릎에 물이 차고 붓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치료가 어렵다고하던데?

555

 

무릎관절은 사람의 인체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중의 하나라 체중을 받쳐 줘야 하고 여러 가지 동작이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정교한 공학적 구조이기 때문에 굉장이 어렵다는 척추관 협착증이나 목, 허리 디스크가 무릎관절치료와 비교해도 훨씬 쉬울 정도라고 합니다.

 

수술없이 치료가능?

 

연골은 나이가 먹으면 자연스럽게 닳아서 퇴화되는데 다만 관절 환자는 닳는 속도가 다른 사람에 비해 빠를 뿐이며, 문제는 관절 주위의 힘줄, 신경 등 결합조직인데 수술없이 한약으로도 이런 결합조직의 재생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네요

 

관절 주위의 근육 인대 힘줄 신경 등 조직의 재생효과를 내고 남은 연골 조직의 강화를 통해 약화된 무릎을 건강하게 하여 그 원인을 치료하게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치료되고 나면 뛸 수도 있고 가벼운 등산이나 축구,조깅, 노동일도 충분히 할수 있게 되어 삶의 질을 대폭 향상시키게 됩니다 

그라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환자 자신의 성실한 치료가 무엇보다고 중요하고 합니다.

 

시린증상 치료가능?

 

무릎이 시리고 찬바람이 나는 이유는 무릎 주변의 인대,건등 결합조직이 손상괴사되어 무릎으로 가는 혈류의 심각한 제한이 오기 때문입니다.

한방 치료를 통해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 함께 시렸던 무릎이 따뜻해지는 것을 느끼게 되며 발끝이 시린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 원리로 치료가 되어 진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많은 분들이 질환의 특성상 참고 인내하면서 생활을 하고 계십니다.

저 뿐만이 아니라 많은 고통에 계시는 분들이 치료를 잘 하셔서 건강한 생활을 하셨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 Recent posts